About Sparpoint Korea

SPAR Point 그룹은 3D 이미징 기술관련 전문가를 위한 컨퍼런스를 주최하며, 다음과 같은 뉴스와 정보를 제공합니다.


■ 신기술에의 투자를 위한 비즈니스 기회 분석
■ 제품과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통찰력 있는 평가
■ 업계 베스트 프랙티스의 케이스 스터디
■ 혁신적인 기술에 관한 새로운 정보
■ 업계의 인수합병, 파트너링, 제품에 관한 뉴스

■ 3D 스캐닝 및 3D 프린터 기술
■ 포토그라메트리 (Photogrametry) 기술
■ UAV (Unmanned Aerial Vehicle)와 매핑
■ 3D 캐드 솔루션 동향
■ Kinect 및 포인트클라우드





레이블이 사진측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사진측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5월 15일 목요일

Optech: EGU 2014 기능 소개

Optech 4/27-5/2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EGU(European Geosciences Union General Assembly)2014에서, Optech ILRIS Teledyne RESON SeaBat 라이더와 센서를 융합한 시스템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Optech 파트너인 geo-konzept지상 라이더와 UAV 탑재 사진측량을 융합한 시스템을 발표했다. 수직면의 고품질, 고밀도 라이더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진측량 이터를 이용해 단시간에 넓은 범위계측하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Innovative Sensor Fusion Applications for Optech ILRIS to be Showcased at EGU 2014

2014년 2월 4일 화요일

상공에서 45도 기울기로 공중이미지 측정

상공에서의 이미지 측정은 그동안 직하 이미지 중심이었지만, 최근 45 기울기로 공중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다
UAV 제조업체 senseFly사는 이 대각선 이미지를 측정하는 독자적인 제어 알고리즘(특허출원중)을 개발, 발표했다. UAV 이름은 eBee swinglet CAM라고 칭한다. 
쿼드 콥터 제조 기업인 The Parrot Group 사는 2012 7 senseFly 사의 지분 60 %취득했다. 
UAV GIS 소프트웨어는 특히 저공 디지털 매핑에 강한 Pix4d 사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관련영상




<출처>Off 45 degrees.

2013년 12월 17일 화요일

우주에서 지구 이미지와 라이브 비디오 자원 관리

UrtheCast, Inc. 회사는 저공 궤도 위성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수집, 작물 생육 상태, 대기 오염, 인구 과잉 밀집 지역의 상황, 산림 파괴의 진행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ISS 영국에서 칠레 위도에 이르는 지역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를 UrtheCast’s 카메라 하루에 16회 저공 위성으로 수집하고있다.
  
캠코더 ultra-HD, 4K-resolution(4096x2160)는 최대 90초에 한번씩 1m의 해상도로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멀티 스펙트럼(RGB NIR), 5m 해상도의 카메라는 거의 29,000,000 범위의 최대 40km 넓은 이미지를 수집하여 UrtheCast's 웹 사이트와 고객에게 직접 정보를 제공한다.
 
회사는 또한 UAV (무인 비행체) 사용한 서비스도 준비하고있다.


2013년 1월 20일 일요일

무인비행기에 대한 법률


호주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화재에서, 레이저스캔과 포토그라메트리 기술이 소방 활동에 큰 도움을 줬다. 호주 당국의 보도에 따르면 초원등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경우 발생시점으로부터 4분안에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따라 상황이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멜버른 대학에서는 Bushfire Cooperative Research Centre가 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모델링 기술 Phoenix RapidFire을 개발하고 있다. 호주의 해당 사업 관리기관인  Australian Research Centre for Aerospace Automation가 무인 비행기를 폭넓고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유럽에서는(Spain, Greece, UK, Italy, Portugal) 이러한 산불이나 초원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무인비행기에 대한 법률이 있기때문에 화재조사에 활용하는데에 많은 제약이 있다. 제약도 나라별로 가지각색이며, 프랑스의 경우 항공기의 라이센스가 요구되는 곳도 있고, 고도 제한 또한 다양하다.

최근 Trimble Navigationmicro UAVs Gatewing 같은 UAV가 등장하면서, 무인비행체에 대한 법률이 신속히 정리가 되어 적용영역이 넓어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Fighting fires with lidar

2012년 11월 2일 금요일

포토그라메트리의 악용

포토그라메트리가 다방면으로 활용되면서 이를 악용할 가능성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인디애나 대학 정보과학연구소의 4명의 연구원은 그 가능성과 대응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모바일폰이나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3D영상을 다양한 범죄도구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가상절도”라는 기술로 원격사용자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해 훔치는 것이다.


Flickr(2004년에 시작된 온라인 사진공유 서비스)에서 수집한 정보에서 이미지정보를 추출해 내는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이 기술이 모두 선의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며 개인정보를 악의적으로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는 악의적인 목적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출처> Using the new photogrammetry for evil purpose

2012년 10월 7일 일요일

3D스캐너를 이용한 맞춤서비스

3D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서비스 'Shoefitr'

수트나 구두는 같은 사이즈라도 판매상점과 브랜드에 따라 다르다. 
3D스캔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준다. Shoefitr는, 그 시도의 하나이다. 
전세계의 구두의 종목과 사이즈마다의 형상 데이타베이스를 보유해, 지금 신고 있는 구두와 비교해 주는 것이다.




Kinect를 이용한 버추얼 탈의실 'CISCO'



<출처> If the shoe doesn't fit, it's the scanner's fault

iPhone에서 3D모델링을 구현 !

iPhone으로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123D Catch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이 공개되었다.
이미 기존에 iPad로는 사용이 가능했지만 잘 구현되지 않았었다.
이번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작동이 잘 되며 App store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2012년 9월 16일 일요일

포토그라메트리 vs 레이저

최근 서비스공급자들의 레이저기술에서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 변환으로 이룬 비용절감 사례들이 해당분야 관계자들에게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논의요점

a. 라이더 기술의 비용도 이전보다 많이 저렴해져 신규 서비스 공급자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라이더 기술을 핵심으로 하고있는 분야나 라이더 기술을 기존 기술의 보완 기술로 적용하고 있는 분야에서는 항상 고객에게 비용절감 압박을 받고 있다. 비용의 차이가 있기때문에 고객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라이더 기술과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과의 차이를 알고싶어 한다. 신규 서비스 공급자들 중에는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포토그라메트리의 특징을 과대하게 어필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고객의 해당분야 관련 지식이 부족한 경우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b. 최근 포토그라메트리가 주류가 되어 사용되어 지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3D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3D정보수집과 검토까지 가능한 시대가 도래했다.

c. 포토그라메트리의 경우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라이더의 경우에는 엔트리 시스템인 C10의 경우만 보더라도 하드웨어 비용 11만달러와 1.5만달러의 연간 보정비용이 든다. 단지 포인트 클라우드데이터를 채취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굳이 이러한 하드웨어는 필요 없다.

d. 포토그라메트리는 사회경제적 구조와 문화영역을 넘어섰다. 값비싼 전형적인 측정장치와는 달리, 포토그라메트리로 클라우드나 인터넷 환경에서 오픈소스를 제공이 좀 더 쉬워질 것이다.

레어저, 백기를 올리다?

여기까지 봤을때, 레이저 영역은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에게 자리를 빼앗기는 것일까? 레이저 영역은 어떻게 비지니스 세계에서 살아남을 것인가? 현 시점에서 보면 시장에서 두 분야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지고 있다.

엔지니어링 등급의 정도가 요구되는 고사양 영역에서는 아직도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다. 그리고 레이저 가격이 점점 내려가면서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 아직 시장은 레이저보급화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결과가 잠재 시장의 5%만이 표면화 된 결과라는 견해도 있다.

반면 포토그라메트리 기술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이를 핵심기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잠재력이 없으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없다. 포토그라매트리 측정법은 3D 시각화로 훌륭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드시 이러한 특징을 올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웨인 그레츠키 씨의 조언

전설의 아이스하키 선수인 웨인 그레츠키의 말을 빌리자면, 그에게 이기는 비결이 무었이냐고 묻자, 그는 “항상 팩이 어디에 가려고 하는지 판단하고 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서비스 공급자는 레이저와 포토그라메트리 두 기술을 모두 완벽하게 숙지하여 해당 분야 기술과 시장이 어디를 향해 가는지 판단하고 방향을 잡고 나아가야 한다.

<출처> How service providers can take advantage of lidar vs. photogrammetry debate

WSP사의 새로운 도전 !

스웨덴의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인 WSP사의 측량엔지니어링 Magnus Larson 씨는 모바일 매핑분야에 새로운 Geo Tracker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Swedvision Automation사가 Larson씨의 요구 사양을 반영해 만들어졌다.

 
모바일 매핑초기에는 레이저 기반의 시스템에서 작업을 했지만, 이번에 새로 도입된 시스템은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과 일체화한 시스템으로 화면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조작할 수 있기 떄문에 훨씬 사용하기 간편하다.

예를들어 스웨덴 교통국에서나 얻을 수 있었던 도로의 아스팔트 표면의 지형측정 데이터도 Geo Tracker를 사용하여 직접 매우 빠른 채취를 할 수 있었다. 만약 레이저기반 시스템에서 작업을 했다면 데이터를 채취하고 고도의 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그에비해 화면 이미지로 조작할 수 있는 이번 기술은 매우 편리하다.

Swedvision사는 모바일 매핑 시스템분야 경험이 전무했다. 하지만 3D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기때문에 Larson씨의 요구사양에 의거해 포토그라메트리와 레이저 데이터를 통합해 개발한 것이다.

하드웨어 사양
  •  Sick LMS511 PRO scanners (customized configuration and mount)
  •  Inertial platform, OXTS Inertial+ 100Hz
  •  High precision wheel speed sensor
  •  GNSS receiver
  •  5Mpix industrial cameras (for stereo measurements)
  •  Canon SLR
  •  High resolution 360 camera (wec360 camera)
  •  HD Video camcorder
  •  GPR system (Ground penetration radar)

이 시스템에 Sick레이저를 선택한 이유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해서 이다. 기존에 모바일 매핑에 사용되고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조사한 결과 모두 비용이 너무 고가여서 사용이 불가능 했다.

Sick레이저로는 기초 데이터밖에 채취할 수 없기때문에,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상당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했지만 Swedvision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정밀도 6mm(아마 4mm)의 데이터획득이 가능했다.

Sick레이저로 채취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샘플


이 시스템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후처리가 고속으로 가능하다는 것으로, LAS파일 포멧에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1분간 1700만점을 변환 할 수 있다. 예를들어 25km의 범위에서 채취한 2.6억점의 데이터를 16분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 기온이 -30도와 같은 한랭지에서도 동작이 가능한데 이는 북유럽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기능이다.

GeoTracker 웹사이트

<출처>  WSP invests in first-ever GeoTracker mobile scanning system
 




 

2012년 9월 3일 월요일

화성탐사에서 3D데이터의 중요성

Earthmine는 3D 모바일 매핑회사로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그 파노라마를 통해 실세계를 매핑하는 기술보유하고 있어 사진과 지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올해 열린 Earthmine 사용자 컨퍼런스에는 13개국에서 110명의 참석자가 참석해, 산업계에서의 그 존재가치를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Earthmine에서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개발된 기술을 도입해 라이선스한 기술은 현재 NASA의 화성탐사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화성에는 2003년에 발사된 2대의 로봇이 장기간 조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 로봇에는 광각 스테레오 카메라가 설치되어있어 이를 이용해 현지 지형을 3차원으로 획득하고,
화성환경에서 로봇이 자율주행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2012년 8월 5일 일요일

사진측정기술이 라이다처럼 정교해 질 수 있을까?

오토데스크사 리얼리티 캡쳐의 새로운 디렉터 Elmer Bol 이 SPAR Europe 2011에서 사진측정에 관한 신기술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