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Sparpoint Korea
SPAR Point 그룹은 3D 이미징 기술관련 전문가를 위한 컨퍼런스를 주최하며, 다음과 같은 뉴스와 정보를 제공합니다.
■ 신기술에의 투자를 위한 비즈니스 기회 분석 | ■ 3D 스캐닝 및 3D 프린터 기술 |
2013년 11월 13일 수요일
GTC, 해양데이터수집기기 납품
Geospace Technologies Corporation (GTC)는 Seafloor Geophysical Solutions AS (SGS) 사로부터 해양 데이터 수집기기 OBX system을 $29.4 million에 수주해 내년 3월에 납품한다.
OBX system은 심해의 해저 지진 신호 데이터 수집용도로 전 세계적으로 이미 2,304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계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3000m의 심해까지 설치가 가능하며, 정밀도와 신뢰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SGS는 지난 달 초에도 Dawson Geophysical 사로부터 9,000 스테이션 및 장비 세트를 $ 18.1 million에 수주한 바 있다.
2013년 6월 14일 금요일
옵텍 : 에어본 라이더로 적설량 관리

옵텍의 에어본 라이더 Orion-H는 통합 이미징 분광계를 활용하여 적설 물 당량 (snow water equivalent) 및 적설계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채취하여보다 효율적인 치수, 물 공급 관리 및 수력 발전을 가능하게하여 주 저수지 작업을 강화하고있다.
<출처> Airborne lidar system shapes future of water management
라이카 : 열악한 환경에 적합한 Rugby800 시리즈출시

고유의 스마트 타겟팅(Unique Smart Targeting), 스마트 잠금기능(Smart Lock functions)
- 출발점에서 설정하면 이후 자동으로 셋팅
- 태양전지 옵션기능으로 태양열로 충전가능
- 5년보증
<출처> Leica rolls out market's 'toughest laser'
2013년 4월 2일 화요일
공중라이더로 사자의 행동양식 분석

점군데이터를 3차원 매핑하여 7마리 사자 움직임을 겹쳐서 분석한 결과, 사자가 휴식을 하는 장소와 사냥을 할 위치가 명확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냥을 할 때, 수컷은 깊은 수풀을 좋아하는 반면 암컷은 오픈된 장소를 좋아한다.
공중측정에 대해

공중측정에서 최대의 화제는 뭐니뭐니해도 무인기 Unmanned Aerial Vehicle(UAV)이다. 그러나 공중에서 다른 UAV이나 장애물과의 충돌문제에 대한 문제점은 항상 존재한다. 이 때문에 다시 지상형 라이다를 사용하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이 문제는 오래전부터 발생해왔으며, 새로 개발된 UAV가 단명으로 사라져가는 것도 많다.
그런 가운데 유럽을 대표하는 Tactical Unmanned Aircraft System T
UAS 제조업체인 독일 EMT사는 지난 15년동안 750개의 드론을 공급했다.
이번에 EMT는 로컬 엔지니어링 기업인 Spies와 독일정부와 함께 개발한 LUNA TUAS and Museco helicopter drone을 개발했다. EMT의 CTO Sascha Lang에 따르면 이번 개발로 인해 개인고객은 무인항공기 시스템을 쉽고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운영비용또한 낮을것이라고 발표했다.
<출처> Aerial lidar sheds light on lion behavior
유럽의 새로운 에너지 정책

Bluesky는 또한 국가의 매핑센터로 전 국토의 지리정보, 태양에너지지도, 항공사진, 도시의 고정밀 이미지 정보 등도 제공하고 있다.
<출처> LIDAR specialist plays big part in Europe's renewable energy push
의회 연방자산관리에 라이더와 포토그라메트리 제안

지리정보와 관련된 민간단체 MAPPS도 이러한 움직임을 반기고 있다. 또한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
ences와 토지구획위원회 (Committee on Land Parcel)도 이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출처> U.S. House bill seeks federal property inventory using lidar, photogrammetry
2013년 3월 26일 화요일
Optech의 ILSC 2013 컨퍼런스
이미지와 라이더에 관한 Optech의 연례 행사인 ILSC 2013에서 Teledyne DALSA,INC 사의 CEO인 Brian Doody 씨는 두 회사의 통합을 통해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연설했다. 두번째 기조연설에서는 Esri의 Lawrie Jordan씨는 많은 정부 기관에서 기존의 정적지도에 동적 상황변화를 더한 GIS시스템에 대한 요청이 많아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출처> Optech announces ILSC 2013 keynotes
2012년 11월 7일 수요일
재난상황에도 리이다기술활용
허리케인 '샌디'의 피해복구에 라이다기술 활용
허리케인 ‘샌디’의 영향으로 뉴욕의 거리가 아직도 침수상태에 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3차원 기술은 어떤방법으로 활용이 되며 또 어떠한 도움을 줄까? 이전부터 뉴욕시가 구축하고 있던 3차원 지도는 이번 허리케인 피해복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got a full airborme lidar treatment). 이 지도는 일조량문제(solar map)와 도시계획 및 재해대책을 예방하기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라이더에 의한 토지높이정보(elevation)를 어떤식으로 활용할지 검토되고 있었다. (how best to use lidar and other elevation data) 수로계획을 세우는데는 라이더데이터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댐 재해대책이나 삼림관리, 해면상승시나 홍수대책에 사용하기에는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카트리나때의 보고자료 summary of the post-Katrina lidar work here, 및 SPAR 2012who presented at SPAR 2012.에서 아시아 항측이 보고했던 Asia Air Survey and StreetMapper provided this very kind of data자료등도 많이 참고가 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과거 카트리나의 경우에는 1,800명의 희생자를 발생시켰지만, 이번 샌디는 뉴욕이라는 대도시에서 이러한 과거의 축적된 데이터와 지식을 활용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던 것은 불행 중 다행일 것이다.
<출처> How 3D data capture can help with the Sandy effort
허리케인 ‘샌디’의 영향으로 뉴욕의 거리가 아직도 침수상태에 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3차원 기술은 어떤방법으로 활용이 되며 또 어떠한 도움을 줄까? 이전부터 뉴욕시가 구축하고 있던 3차원 지도는 이번 허리케인 피해복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got a full airborme lidar treatment). 이 지도는 일조량문제(solar map)와 도시계획 및 재해대책을 예방하기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라이더에 의한 토지높이정보(elevation)를 어떤식으로 활용할지 검토되고 있었다. (how best to use lidar and other elevation data) 수로계획을 세우는데는 라이더데이터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댐 재해대책이나 삼림관리, 해면상승시나 홍수대책에 사용하기에는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카트리나때의 보고자료 summary of the post-Katrina lidar work here, 및 SPAR 2012who presented at SPAR 2012.에서 아시아 항측이 보고했던 Asia Air Survey and StreetMapper provided this very kind of data자료등도 많이 참고가 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과거 카트리나의 경우에는 1,800명의 희생자를 발생시켰지만, 이번 샌디는 뉴욕이라는 대도시에서 이러한 과거의 축적된 데이터와 지식을 활용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던 것은 불행 중 다행일 것이다.
<출처> How 3D data capture can help with the Sandy effort
2012년 10월 14일 일요일
라이다, 데이터오픈화 물결에 뒤늦은 합류

작년 12월에는 유럽공동체가 'Communication on Open Data' 의 방침을 발표했다. 중앙정부 및 지자체를 포함해 오픈화의 움짐임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오픈화는 혁신의 원동력이 된다는 의도 이다.
Environment Agency's lidar data archive에서 50cm해상도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덴마크의 국립 박물관이 처음으로 Cultural HeritageHackathon를 공개했지만, 이것은 아직 라이더 자료는 아니며 아마 내년에는 라이더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라이더 데이터 오픈화는 분명 빠르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논의가 향후 계속해서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http://www.lidar-online.com/)
<출처> Is the open data revolution leaving lidar behind?
2012년 10월 7일 일요일
Tesla, 수중구조물의 신속한 대응
Tesla Offshore사는 멕시코만의 석유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측량 조사회사이지만, 허리케인 아이작에 의한 수중 구조물의 피해상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중 파이프라인의 상황을 재빨리 파악해 사업재개를 할지는 석유회사의 중대한 관심사이다.
테슬라는 두개의 실시간 3D 수중음파탐지기 EchoScopes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다행히 수중 구조물의 손상을 발견되지 않았다. 육상시설에서의 피해로 아직 사업재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채취된 데이터 샘플>
다른 측정방법들도 있었지만, 그것들은 후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많았다. EchoScope 와 같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허리케인과 같은 긴급피해조사가 요구될 때 매우 유용하다.
<출처> How Tesla Offshore uses underwater 3D
테슬라는 두개의 실시간 3D 수중음파탐지기 EchoScopes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다행히 수중 구조물의 손상을 발견되지 않았다. 육상시설에서의 피해로 아직 사업재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채취된 데이터 샘플>
다른 측정방법들도 있었지만, 그것들은 후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많았다. EchoScope 와 같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허리케인과 같은 긴급피해조사가 요구될 때 매우 유용하다.
<출처> How Tesla Offshore uses underwater 3D
Gexel, 라이다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이탈리아 브레시아 대학의 스핀오프 기업 Gexcel은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고 시각화 할 클라우드용 서버 소프트웨어 ‘gexcel R3Xtream 엔진’을 새롭게 개발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엔진은 대역폭의 속도의 제한에 제약받지 않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무제한의 점군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특징 추출 및 Gexcel의 JRC 3D Reconstructor package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표면의 이미지 렌더링이나 CAD 패키지의 메타데이타에의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세계 표준 E57과 LAS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며, 파로, 라이카, MDL, 옵텍, 리글, Trimble, Z+F 등의 데이터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출처> Gexcel releases new cloud-based point cloud software
<출처> Gexcel releases new cloud-based point cloud software
2012년 9월 16일 일요일
무인운전도로 정비를 위한 법률 제정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에서는 무인 운전도로의 정비를 가속하기 위한 법률제정 준비가 시작되었다. 참고
주로 2개의 기술 자율긴급제동(AEB)과, 차선이탈경고시스템(LDWS)에 대한 정비가 진행된다. AEB는 전방에 장애물이 가까워졌을 때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것이고, LDWS는 주행 레인으로부터 벗어났을때 경고하는 것이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서는 위원회에 등록되는 상용차는 2013년 11월까지 AEB의 장비를 규제하고 있어 일반 대중의 차에 대해도 확대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LEDS도 유럽 형식 인증(European type-approval)의 대상이 될 예정이다. 또한 유로엔캡(Euro NCAP)에서 AEB 충돌 시험 방법이 2014년부터 규정되게 되어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유럽만이 아니라 이미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를 통해 세계 58개국이 참가하고 세계표준화를 위한 활동이 시작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유럽만이 아니라 이미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를 통해 세계 58개국이 참가하고 세계표준화를 위한 활동이 시작되고 있다.
포토그라메트리 vs 레이저
최근 서비스공급자들의 레이저기술에서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 변환으로 이룬 비용절감 사례들이 해당분야 관계자들에게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논의요점
a. 라이더 기술의 비용도 이전보다 많이 저렴해져 신규 서비스 공급자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라이더 기술을 핵심으로 하고있는 분야나 라이더 기술을 기존 기술의 보완 기술로 적용하고 있는 분야에서는 항상 고객에게 비용절감 압박을 받고 있다. 비용의 차이가 있기때문에 고객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라이더 기술과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과의 차이를 알고싶어 한다. 신규 서비스 공급자들 중에는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포토그라메트리의 특징을 과대하게 어필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고객의 해당분야 관련 지식이 부족한 경우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b. 최근 포토그라메트리가 주류가 되어 사용되어 지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3D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3D정보수집과 검토까지 가능한 시대가 도래했다.
c. 포토그라메트리의 경우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라이더의 경우에는 엔트리 시스템인 C10의 경우만 보더라도 하드웨어 비용 11만달러와 1.5만달러의 연간 보정비용이 든다. 단지 포인트 클라우드데이터를 채취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굳이 이러한 하드웨어는 필요 없다.
d. 포토그라메트리는 사회경제적 구조와 문화영역을 넘어섰다. 값비싼 전형적인 측정장치와는 달리, 포토그라메트리로 클라우드나 인터넷 환경에서 오픈소스를 제공이 좀 더 쉬워질 것이다.
레어저, 백기를 올리다?
여기까지 봤을때, 레이저 영역은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에게 자리를 빼앗기는 것일까? 레이저 영역은 어떻게 비지니스 세계에서 살아남을 것인가? 현 시점에서 보면 시장에서 두 분야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지고 있다.
엔지니어링 등급의 정도가 요구되는 고사양 영역에서는 아직도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다. 그리고 레이저 가격이 점점 내려가면서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 아직 시장은 레이저보급화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결과가 잠재 시장의 5%만이 표면화 된 결과라는 견해도 있다.
반면 포토그라메트리 기술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이를 핵심기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잠재력이 없으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없다. 포토그라매트리 측정법은 3D 시각화로 훌륭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드시 이러한 특징을 올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웨인 그레츠키 씨의 조언
전설의 아이스하키 선수인 웨인 그레츠키의 말을 빌리자면, 그에게 이기는 비결이 무었이냐고 묻자, 그는 “항상 팩이 어디에 가려고 하는지 판단하고 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서비스 공급자는 레이저와 포토그라메트리 두 기술을 모두 완벽하게 숙지하여 해당 분야 기술과 시장이 어디를 향해 가는지 판단하고 방향을 잡고 나아가야 한다.
<출처> How service providers can take advantage of lidar vs. photogrammetry debate
논의요점
a. 라이더 기술의 비용도 이전보다 많이 저렴해져 신규 서비스 공급자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라이더 기술을 핵심으로 하고있는 분야나 라이더 기술을 기존 기술의 보완 기술로 적용하고 있는 분야에서는 항상 고객에게 비용절감 압박을 받고 있다. 비용의 차이가 있기때문에 고객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라이더 기술과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과의 차이를 알고싶어 한다. 신규 서비스 공급자들 중에는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포토그라메트리의 특징을 과대하게 어필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고객의 해당분야 관련 지식이 부족한 경우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b. 최근 포토그라메트리가 주류가 되어 사용되어 지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3D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3D정보수집과 검토까지 가능한 시대가 도래했다.
c. 포토그라메트리의 경우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라이더의 경우에는 엔트리 시스템인 C10의 경우만 보더라도 하드웨어 비용 11만달러와 1.5만달러의 연간 보정비용이 든다. 단지 포인트 클라우드데이터를 채취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굳이 이러한 하드웨어는 필요 없다.
d. 포토그라메트리는 사회경제적 구조와 문화영역을 넘어섰다. 값비싼 전형적인 측정장치와는 달리, 포토그라메트리로 클라우드나 인터넷 환경에서 오픈소스를 제공이 좀 더 쉬워질 것이다.
레어저, 백기를 올리다?
여기까지 봤을때, 레이저 영역은 포토그라메트리 측정법에게 자리를 빼앗기는 것일까? 레이저 영역은 어떻게 비지니스 세계에서 살아남을 것인가? 현 시점에서 보면 시장에서 두 분야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지고 있다.
엔지니어링 등급의 정도가 요구되는 고사양 영역에서는 아직도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다. 그리고 레이저 가격이 점점 내려가면서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 아직 시장은 레이저보급화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결과가 잠재 시장의 5%만이 표면화 된 결과라는 견해도 있다.
반면 포토그라메트리 기술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이를 핵심기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잠재력이 없으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없다. 포토그라매트리 측정법은 3D 시각화로 훌륭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드시 이러한 특징을 올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웨인 그레츠키 씨의 조언
전설의 아이스하키 선수인 웨인 그레츠키의 말을 빌리자면, 그에게 이기는 비결이 무었이냐고 묻자, 그는 “항상 팩이 어디에 가려고 하는지 판단하고 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서비스 공급자는 레이저와 포토그라메트리 두 기술을 모두 완벽하게 숙지하여 해당 분야 기술과 시장이 어디를 향해 가는지 판단하고 방향을 잡고 나아가야 한다.
<출처> How service providers can take advantage of lidar vs. photogrammetry debate
2012년 7월 24일 화요일
체코 고속도로 모바일라이더 + 지중레이다
체코의 Geovap사는 , 고속도로의 노면 열화계측에 오프텍, 포인트 툴 및 로드 스캐너사와 제휴하여 모바일 라이더와 지중 레이더 데이터를 함께 수집하여 유지보수에 활용하였다.
이에 의하여 과거 법에 의한 조사에 비해 90%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였다.
<출처> Combining mobile lidar with ground-penetrating radar
이에 의하여 과거 법에 의한 조사에 비해 90%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였다.
5개의 방향에 따라 한쪽 3차선 노면상태를 측정하며 지중 레이더 및 GPS 를 결합하여 측정하였다.
지중 레이더는 유지보수에 매우 중요한 포장면의 두께와 내부의 열화상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출처> Combining mobile lidar with ground-penetrating radar
피드 구독하기:
글 (Atom)